QUICK MENU
KRRI NEWS
- 철도연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기관전략개발단(ISD) 참여기관 공모
2025-09-05
2026년도「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기술수요조사 안내2026년도「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기술수요조사 안내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철도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철도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도 유관기관(기술수요기관) 및 중소·중견기업과의 공동 협업을 통한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동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철도 유관기관(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 등)과 중소·중견기업의 수요 기술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관심 있는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 11월 11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 1. 사업명: 2026년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2. 사업목적○ 철도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와 실용화 촉진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연구원, 기업, 수요기관 간 협력 기반의 R&D 생태계 구축 - (기술개발 및 실용화 촉진) 철도산업계의 현장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개발된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촉진 - (기술실시 및 사업화 연계 강화) 공동연구 성과의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직접 기술을 실시·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공동연구 기반 강화) 연구원, 기업, 수요기관 간 협력을 기반으로 수요발굴, 기술개발, 검증/실증단계 전주기 협력 체계 구축3. 지원대상 및 유형 구분주요내용[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철도 유관기관이 신규개발이 필요한 기술수요를 제안⦁연구원·유관기관·기업 공동협업 R&D 수행⦁연구성과의 현장 적용을 통한 유관기관 기술애로 해결 및 기업 성장 지원[유형 2] 기업 제안형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중소·중견기업이 현장 애로사항 또는 필요 기술 수요를 제안⦁연구원·기업 공동협업 R&D 수행⦁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를 통한 기업 성장 지원 [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 ① 지원대상 ○ 철도 유관기관(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 등) 및 연계 중소.중견기업② 추진방식 ○ 철도 유관기관이 신규개발이 필요한 기술수요를 발굴·제안하고, 연구원·유관기관·기업이 공동 협업 R&D 수행③ 지원내용 ○ 철도 시설·운영기관이 운영·유지관리를 위해 구매하는 독점 수입품 등의 국산화 개발 및 기타 수요 기술·제품 개발 ○ 완성차 제작사의 해외 수입품 국산화 개발 및 차량 제작·성능개선을 위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④ 권고(의무)사항 ○ 과제 수행 과정에서 유관기관의 현장(차) 실증 지원 ○ 유관기관은 개발 요구사항 만족 시, 우선 구매 노력 권고 ○ 과제 종료 전, 연구성과 활용을 위한 참여기업의 기술실시 계약 의무화 (착수기술료: 직접경비의 20%(중소기업), 40%(중견기업) 이상, 경상기술료는 별도 협의) ※ 기술실시계약 미 이행시, 향후 기업 및 과제책임자에 대한 본 참여제한 등의 제한 조치 적용 예정 [유형 2] 기업 제안형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 ① 지원대상 ○ 중소·중견기업 中 최근 연도 기준 매출 30억원 이상이면서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보유 기업 ※ 매출 30억원 미만 시, 기술수요조사서 상 ‘매출성장가능계획’ 작성 必, 평가위원회 심의 ※ 중소기업기본법 또는 중견기업 특별법에 따른 기업 ② 추진방식 ○ 중소·중견기업이 제안한 현장 애로사항 또는 필요기술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원·기업이 공동협업 R&D 수행③ 지원내용 ○ 기업이 제시한 현장 수요기술 또는 기술애로(원가 절감, 성능 개선, 안정성 확보 등)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기술개발 및 공동 R&D 수행 ○ 시장 진입 또는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 부품·장비 등의 국산화 및 실증 추진④ 의무사항 ○ 과제 종료 전, 참여기업은 연구성과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실시 계약 의무 체결 (착수기술료: 직접경비의 20%(중소기업), 40%(중견기업) 이상, 경상기술료는 별도 협의) ※ 기술실시계약 미 이행시, 향후 기업 및 과제책임자에 대한 본 참여제한 등의 제한 조치 적용 예정4. 사업규모 및 기간 ○ 과제 수: 0 건 내외○ 과제예산: 과제당 연 0.5~3억원 (직접경비 기준) ※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기업은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물)를 부담해야 하며, 과제 종료 후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물)에 대한 정산을 실시해야 함○ 과제기간: 1~2년 이내※ 제안 내용에 적정한 예산 및 기간을 제시해야 하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 선정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제안된 예산 및 기간은 선정평가 결과 및 평가위원회 의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신규과제는 예산 범위 내에서 기업수요 및 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 예정5. 추진절차 및 일정 절 차 및 내 용 비 고 일 정 ① 【사업공고】 내·외부 공모 연구원 홈페이지 ‘25. 11월 ② 【기술수요 접수】 기술수요조사서 및 관련서류 제출 유관기관 및 기업 → 철도연 (산업지원실) ‘25.11.11~28 ③ 【기술수요조사서 평가】 기술수요에 대한 지원 타당성 평가(서면평가) 평가위원회 ‘25.12.10(예정) ④ 【연구책임자 연구원 내부 공모】 기술수요조사서에 대한 연구원 내부 책임자 공모 철도연 (산업지원실) ‘25.12.15~19(예정) ⑤ 【과제 신청】 과제계획서 작성 및 신청 연구책임자→철도연(산업지원실) ‘25.12.22~’26.1.9(예정) ⑥ 【과제 선정평가】 과제계획서 평가 및 추진과제 선정 평가위원회 ‘26.1.15(예정) ⑦ 【과제 수행】 과제수행 및 과제 종료 전 기술이전 연구책임자, 유관기관 및 기업 ‘26.1월 ~ ⑧ 【종료 평가 및 실용화 추진】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실용화 추진 연구책임자, 유관기관 및 기업 ‘26. 11월 (예정) 6.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기간: 2025년 11월 11일 ~ 28일○ 제출서류 제출 서류[유형 1] 철도 유관기관[유형 2] 중소·중견기업① 기술수요조사서✓ (붙임 1 양식)✓ (붙임 2 양식)② 협력·참여의향서 또는 참여확약서✓ (붙임 3 양식)✓ (붙임 4 양식)③ 청렴서약서 ✓ (붙임 5 양식)④ 신용상태 조회 동의서 ✓ (붙임 6 양식)⑤ 기술실시 확약서 1부 ✓ (붙임 7 양식)⑥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⑦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서 ✓⑧ 최근 3년간 표준재무제표증명 각 1부 (국세청 홈택스) ✓⑨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 각 1부 ✓ ○ 신청방법: 제출서류를 압축하여 이메일로 제출 (제출처: krissme@krri.re.kr) 7. 평가 방법 및 항목 ○ 평가방법 - 기술수요조사서 평가는 서면평가를 원칙으로 하며, 평가 과정에서 필요 시 보완 또는 추가자료 제출을 요청할 수 있음 - 평가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현장방문 또는 개별 상담을 실시할 수 있음 ○ 평가항목 : [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사업 평가항목평가지표평가 주안점배점1. 연구개발 필요성문제/이슈의 타당성∎과제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슈가 필수적이고 시급한지 여부와 제안된 기술개발이 해당 문제/이슈를 해결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인지 여부를 검토15시장성∎개발 기술이 목표하는 국내외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상황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시장성이 충분한지를 판단152. 요구사항 및 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수요처 요구사항의 적절성∎수요 주체(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가 제시한 수요가 구체적이고 실재하는지와, 제시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문제/이슈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지 여부를 검토20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수요처의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기술수요서의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에 정량적/정성적으로 적절하게 반영되었는지 검토103. 성과활용 계획의 구체성시장진입 계획의 적절성∎기술개발 완료 후 수요처의 구매 계획 등 구체적인 시장진입 전략과 수익 모델(BM)이 현실적인지 평가15인증계획의 적절성∎국내외 시험·인증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검토10수요기관 역할 및 협력계획∎실증 환경 제공, 데이터 제공 등 협력 의지, 연구원/기업과 협력 계획의 구체성, 기술개발 후 활용에 대한 의지의 명확성 등 검토15합 계100 ○ 평가항목 : [유형 2] 기업 제안형 실용화 R&D 지원사업평가항목평가지표평가 주안점배점1. 연구개발 필요성문제/이슈의 타당성∎과제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슈가 필수적이고 시급한지 여부와 제안된 기술개발이 해당 문제/이슈를 해결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인지 여부를 검토15시장성∎개발 기술이 목표하는 국내외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상황, 예상 수요처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시장성이 충분한지 판단152. 요구사항 및 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기업 요구사항의 적절성∎기업에서 제시한 수요가 구체적이고 실재하는지와, 제시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문제/이슈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지 여부를 검토20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기업에서 제시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기술수요서의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에 정량적/정성적으로 적절하게 반영되었는지 검토103. 성과활용 계획의 구체성시장진입 계획의 적절성∎기술개발 완료 후 제품 양산, 판로 확보, 마케팅 전략 등 구체적인 시장진입 전략과 수익 모델(BM)이 현실적인지, 예상수요처의 수요확인, 실증협조 및 구매 의향 등 협의 수준 평가15인증계획의 적절성∎국내외 시험·인증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검토10기업 역량 및 의지∎기업이 보유한 기술 전문성, 과거 실적, 연구개발 인프라(인력, 시설 등)가 과제 수행 및 기술실용화에 적합한지, 기술실시 의향과 조건이 명확히 제시되었는지 검토15합 계1008. 과제 수행 및 관리 ○ 과제 수행 및 관리는 철도연의 「기본사업관리규정」 에 따라 이루어짐○ 과제비는 철도연 연구책임자가 철도연 내부절차에 따라 집행하며, 참여기업으로의 현금 지원, 시험체, 시제품 제작, SW 제작 용역 등의 직접 지원(구매발주)은 불가함○ 지식재산권 등 연구개발성과의 소유에 관하여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16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32조에 따르며, 기술실시(이전·사용) 계약을 통해 참여기업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9. 기타사항 ○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과제수행 대상에서 제외하며, 과제수행 과정에서 제외사항이 확인된 경우 지원 제외 처리함 ① 기술수요조사서에 대해 적절한 철도연 연구책임자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② 신청과제가 동일기업의 기 지원된 과제내용과 유사한 경우 ③ 신청기업 또는 신청기업 대표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철도연에 기술료 납부 등의 의무사항을 불이행한 경우 ➃ 신청기업 또는 신청기업 대표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 또는 철도연구원과의 과제수행·구매(용역)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⑤ 신청자격 요건에 맞지 않는 경우 또는 기업의 부도 ⑥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10. 문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산업지원실 . 박준성 실장 (T. 031-460-5960), 장동두 책임 (T. 031-460-5740)
2025-11-11
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을 안내드리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원서접수: ~2025.10.16.(목) 17:00- 지원자 서류 보완: 2025.10.27.(월) ~ 29.(수)-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2025.11.12.(수) 17:00- 전공심층면접: 2025.11.17.(월) ~ 21.(금)- 최종 합격자 발표: 2025.12.08.(월) 17:00- 입학등록: 2025.12.09.(화) ~ 15.(월)※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 시 UST 입학 홈페이지(admission.ust.ac.kr)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
2025-10-01
[철도연 유튜브] 여름방학 맞이 '철도과학 영상 시청 이벤트' 안내2025-08-11
-
입찰공고
(재공고) 제2025-297호 LS-LSM 급전용 Solid-state Thyristor
(재공고) 제2025-297호 LS-LSM 급전용 Solid-state Thyristor Switch System(STSS) 제작□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1-21
(입찰공고) 제2025-296호 LS-LSM 급전용 Solid-state Thyristor(입찰공고) 제2025-296호 LS-LSM 급전용 Solid-state Thyristor Switch System(STSS) 제작□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1-13
(재공고) 제2025-295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재공고) 제2025-295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1-07
(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9
-
채용공고
2025년 하반기 정규직(연구직·기술직) 채용
입사지원 바로가기 Click
2025-08-28
2025년 정규직(연구직·행정직) 채용입사지원서작성 바로가기(Click)
2025-03-04
-
보도자료
AI 사전예방 철도안전, 친환경 교통기술이 한자리에
- 철도연, 「철도안전환경 이노베이션데이」 개최 , 개방형 협력 연구성과 발표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에서는 철도교통분야 ‘안전’과 ‘환경’을 위한 연구개발 성과, 기술로드맵을 발표하는 「철도안전환경 이노베이션데이 2025」를 11월 21일 철도연 의왕본원 대강당(오명홀)에서 개최했다. ㅇ 이번 성과발표회에서는 ‘선제적 예방으로의 전환을 위한 철도안전’과 ‘탄소중립·친환경 지속가능 교통기술’이라는 두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그 동안의 성과와 향후 계획이 논의되었다. ㅇ 철도연은 데이터 기반 철도 안전 평가·예측, 최신 AI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한 안전기술, 철도 종사자의 사고 예방을 위한 인적오류 분석·평가·예방 기술을 소개하였으며, 대심도와 같은 고위험 재난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인지·예측·대응기술 개발현황을 발표하였다. ㅇ 또한, 지속가능한 친환경 교통을 달성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저감 및 차단 기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탈탄소 자원순환 기술을 소개하였다. 이와 함께, 2032년 환경영향 통합 인증체계 구축을 통해 국민이 더욱더 환경친화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도 밝혔다.□ 철도연은 이번 성과발표회에서 안전과 친환경 교통을 위한 15개의 산학연 개방형 협력 연구성과를 직접 전시하여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ㅇ 스마트 안전 일체형 보호장비, 기관실 내 이동형 실시간 AI 양방향 카메라, 화재대응 비상소화기구함, 이동형 피난관제 로봇 및 철도시설 온도저감을 위한 차열직물 기술 등은 당장이라도 철도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완성도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ㅇ 차륜조도 측정 관리시스템, 이동형 폐콘크리트침목 파쇄 및 회수장치, 선로 환경안전 스마트 관리기술 및 메타기반 소음제어 및 차륜 디지털 트윈기술 등은 일반 국민이 철도를 이용하는 데 더욱 친환경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었다. □ 세미나 참석자들은 철도교통에서의 안전과 환경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볼 수 있는 값진 경험이었다고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이노베이션데이가 매년 개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철도교통 기술개발에서 안전과 환경은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가치이다’며, ‘국민들이 더욱 더 안전하고 편리하고 친환경적인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하고, 그 성과를 국민들게 보고하는 철도안전환경 이노베이션데이를 매년 개최하겠다’고 밝혔다.※붙임 : 철도안전환경 이노베이션데이 사진자료※사진설명: 전현규 철도연 철도안전환경본부장이 ‘2025 철도안전환경 이노베이션데이’에서 ‘철도안전 및 환경 기술개발 로드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사진설명: 참관객들이 철도연 철도안전환경본부의 성과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사진설명: 철도연 연구자들이 국가 R&D 성과 발표를 진행 중이다.(위-박찬우 철도연 시스템안전연구실장, 아래-이덕희 철도연 중대사고연구실장)
2025-11-25
K-철도, 미국 광역도시철도 시장진출을 위한 기술협력 강화- LA 광역도시철도 협력 강화, 미국 진출 한국기업 지원 강화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11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 광역철도를 운영하는 ‘로스앤젤레스교통국(이하 LACMTA)’을 방문하여 협력 간담회를 갖고, 철도 운영에 필요한 한국의 경험과 기술을 알리며 교류했다. ㅇ LACMTA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대중교통 시스템 운영기관으로, 최근 경전철 등 도시철도 연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철도연은 LACMTA CEO Stephanie Wiggins와의 면담에서 실시간 차량 주요부품 손상감지 기술, 신형식 복개구조물 시공기술, TRIPS* 등의 대표적인 한국 도시철도 혁신 기술을 소개했다. * TRIPS(Travel Record based Integrated Public transport operation System): 철도연이 개발한 기술로, 교통분야 빅데이터인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노선개편, 환승정책, 운영계획 수립 등 정부와 지자체의 대중교통 현안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술.□ 철도연은 미국시장에 진출한 한국 철도차량기업 현지공장을 방문하여 수출확대를 위한 기술협력과 지원방안도 협의하였다. ㅇ 11월 19일 현대로템, 11월 20일 우진산전의 LA 전장품 공장을 방문하여 기술현안을 공유하였다. 이 기업들은 최근 LA 메트로 신규차량 밎 개조사업을 수주하였으며 이에 대한 지원방안 논의도 현지에서 진행하였다. ㅇ 철도연은 이 기업들의 제작 차량이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성능검증이 적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활한 일정 관리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였다. □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한국 철도연의 기술이 국제 무대에서도 의미있는 해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우리 도시철도 기술의 미국 시장 진출을 포함하여, K-철도기술의 해외 진출이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참고: (사진) LACMTA 협력간담회 및 현대로템, 우진산전 미국 현지 공장 방문※사진설명: 11월 21일 철도연이 LACMTA와 협력간담회를 진행했다.(왼쪽 Stephanie Wiggins (LACMTA CEO), 오론쪽 사공명 철도연 원장)※사진설명: 11월 21일 철도연이 LACMTA와 협력간담회를 진행했다.(왼쪽 여덟 번째 사공명 철도연 원장)※사진설명: 11월 19일 철도연이 현대로템 LA 전장품 공장을 방문했다. (왼쪽 네 번째 사공명 철도연 원장)※사진설명: 11월 20일 철도연이 우진산전 LA 전장품 공장을 방문했다.(왼쪽 네 번째 사공명 철도연 원장)
2025-11-24
철도연, 세계철도학술대회에서 K-철도기술 빛내- 디지털트윈·수소열차·이음 5G-R 등 한국 신기술 선보여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11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열리는 제14회 세계철도학술대회(WCRR: World Congress on Railway Research 2025) 및 제13회 국제중량철도협회 (International Heavy Haul Association 2025)에 참가하여 혁신적인 K-철도기술을 알리고, 해외 철도기관들과 교류했다. ㅇ 이번 행사는 전 세계 400여 개 철도 산업 및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국제 철도연구 컨퍼런스로, 미국 MxV Rail이 주최하고 “Inspiring Innovative and Resilient Railways”를 주제로 철도산업의 혁신 기술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ㅇ 철도연은 이번 전시에서 디지털 트윈 기반 유지보수 플랫폼, 수소열차, 이음 5G-R(Private Railway 5G) 기술, 인공지능 기반 유지보수 기술, 친환경 PSC 침목* 및 RC 침목** 등의 대표 연구성과를 선보였다. * 친환경 PSC(Prestressed Concrete) 침목: 시멘트 대신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제작한 친환경 침목으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더해 내구성을 높임. ** 친환경 RC(Reinforced Concrete) 침목: 시멘트 대신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제작한 친환경 침목으로, 보강재를 사용해 내구성을 높임. ㅇ 철도연은 이번 WCRR 2025 참여를 통해 국제 철도기술 네트워크 내에서 대한민국의 기술 위상을 높이고, 특히 수소열차, 5G 통신, 디지털 트윈 등 미래 핵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세계 각국의 철도전문가들과 최근 철도 및 대중교통 기술의 트렌드와 선진 철도기술을 교류하고, K-철도기술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했다.□ 철도연은 WCRR 2025에서 최성훈 철도차량본부장의 ‘System design and dynamic performance simulation of a high-speed inboard bogie’, 이병훈 선임연구원의 ‘Implementation of Gap Control for Virtually Coupled Trains Using 5G Communication’ 등 3건의 학술논문을 발표하며 세계 전문가들과 교류하였다. □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혁신적인 명품 K-철도기술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기회였다”며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가 만족하는 철도교통 기술개발과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더욱 고민하고 노력하겠다”고 전했다.※참고: (사진) WCRR 2025에 참가한 철도연※사진설명: WCRR 2025 철도연 부스 및 운영 모습※사진설명: 제14회 세계철도학술대회(WCRR: World Congress on Railway Research 2025)에서 최성훈 철도연 철도차량본부장이 ‘System design and dynamic performance simulation of a high-speed inboard bogie’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2025-11-21
K-철도 시험인증, 미국과의 기술 협력 강화 - 철도연, 미국 MXV Rail 및 ENSCO와 철도 시험인증 협력 MOU 체결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미국 MxV Rail과 철도 기술 연구분야에서의 협력 증진 및 양 기관의 관계 강화를 위한 협약(MOU)을 11월 18일 오후 2시(미국 현지시각 기준) 제14회 세계철도학술대회(WCRR, World Congress on Railway Research 2025)가 열리는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 소재 The Broadmoor 행사장 내 회의실에서 체결했다. ㅇ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시험인증 시설에 대한 정보 및 인적 자원 교류, 통합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철도 시험 인프라 시스템 구축 및 시험용 철도차량의 도입과 공동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으며, 특히 디지털 데이터 자산 관리 및 유지보수 시스템 관련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ㅇ MxV Rail은 미국철도협회(AAR, 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의 자회사로서 콜로라도주 푸에블로 인근에 자체 시험선로를 운영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연구기관이며, 시험 및 인증, 철도 분야 각종 컨설팅 및 연구개발, 철도 종사자 대상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철도연은 미국연방철도국(FRA) 산하 교통기술센터(TTC, Transportation Technology Center)의 운영 기관인 ENSCO Rail과와 11월 17일 비대면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시험인증 분야 공동 프로젝트 수행 및 철도 시험 인프라 유지보수 기술 분야 협력, 유지보수 기술 방법론의 상호보완적 적용, 고속철도 및 중량화물철도 기술 분야 등에 대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ㅇ 두 기관과의 이번 협약으로 철도연은 철도시험 인프라 유지보수기술 협력, 유지보수 계획 및 자산 관리 기준 상호 검증 체계 구축, 시험인증 분야 디지털트윈 고도화 모델 제안 등이 기대된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철도연은 미국 철도시험선로 운영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의 자동화 및 디지털화 등 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시험인증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철도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한국 철도가 국민을 위한 안전한 교통수단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참고: (사진) 미국 MxV Rail과 MOU 체결식 및 ENSCO Rail 미팅 사진참고미국 MxV Rail과 MOU 체결식 및 ENSCO Rail 미팅 사진※ 사진 설명: 철도연은 미국 MxV Rail과 철도 기술 연구분야에서의 협력 증진 및 양 기관의 관계 강화를 위한 협약(MOU)을 11월 18일 체결했다.사공명 철도연 원장(좌측), Kari Gonzales MxV Rail President & CEO(우측)※ 사진 설명: 철도연 관계자들이 미국 ENSCO Rail과 미팅 및 운영현장을 방문했다.
2025-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