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KRRI NEWS

  • 철도연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

    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

    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을 안내드리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원서접수: ~2025.10.16.(목) 17:00- 지원자 서류 보완: 2025.10.27.(월) ~ 29.(수)-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2025.11.12.(수) 17:00- 전공심층면접: 2025.11.17.(월) ~ 21.(금)- 최종 합격자 발표: 2025.12.08.(월) 17:00- 입학등록: 2025.12.09.(화) ~ 15.(월)※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 시 UST 입학 홈페이지(admission.ust.ac.kr)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

    2025-10-01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공일자 : 2025. 7. 21.○ 제공받는 기관 : 국민권익위원회○ 법적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제18조제2항제2호,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제6호, 제27조의2, 제29조○ 제공받는 기관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민원인, 직원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기술이전 및 기업지원, 시험·인증·진단, 계약 및 관리(구매, 용역, 공사) 민원인 및 소속 직원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 개인정보 보유기간 : 2025년도 종합청렴도 조사 완료 시까지 ○ 개인정보 파기 절차 및 파기 방법 : 조사 완료 후 국민권익위원회 및 조사위탁업체 시스템 내 정보 일체에 대해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괄 영구 파기

    2025-07-29

  • 입찰공고

    (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9

    (재공고) 제2025-293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냉온수기 및 생수 공급업체 선정

    (재공고) 제2025-293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냉온수기 및 생수 공급업체 선정□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9

    (재공고) 제2025-292호 연구행정 DX 가속화를 위한 업무포털 고도화 사업

    (재공고) 제2025-292호 연구행정 DX 가속화를 위한 업무포털 고도화 사업□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8

    (재공고) 제2025-291호 철도·교통 분야 AX 연구용 고성능 연산재료

    (재공고) 제2025-291호 철도·교통 분야 AX 연구용 고성능 연산재료□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7

  • 채용공고
  • 보도자료

    K-철도 저소음화 기술혁신, 독일 공동연구 성과도출

    - KRRI-DZSF, 차량기반 선로음향특성 검측 기술 개발·검증 본격화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독일연방철도연구원(DZSF)과 함께 철도 소음 저감과 디지털 기반 선로 유지관리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ㅇ 양 기관은 최근 독일 ‘오픈 디지털 테스트필드(Offenes Digitales Testfeld)’에서 차량에 탑재한 센서를 이용해 선로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의 시험주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번 공동연구는 철도운행에서 발생하는 구름소음(rolling noise)을 줄이기 위해 추진됐다. 열차는 차륜과 레일 사이 표면의 미세한 거칠기*(Acoustic Rail Roughness)로 인해 구름소음이 발생한다. 이 거칠기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시점에 유지관리하면 소음을 줄이는 것은 물론, 선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 거칠기 : 재료 표면의 불규칙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용어로, 주로 기계·재료공학에서 표면의 정밀도와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 ㅇ 기존에 사용 중인 ‘레일 표면의 거칠기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작업자가 선로에 직접 접근해야 하여 광범위한 노선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ㅇ 철도연과 DZSF는 일반 영업 열차에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온보드) 선로음향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운행 환경에서 장거리 구간의 선로 거칠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ㅇ 또한 주행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로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반을 마련하고, 거칠기 발생과 성장의 원리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정책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 중이다.□ 이 기술은 철도연이 개발한 성과로서, DZSF가 철도 관련 기술의 현장 평가를 위해 구축한 시험차량(Messwagen)에 탑재한 첫 번째 사례이다. 이 기술은 2025년 개통된 독일의 오픈 디지털 테스트필드에서 다양한 선로 조건을 대상으로 시험과 성능 검증을 거쳤다.□ 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 김영식) 산하 철도연의 기본사업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로 수행되었다. ※ 관련 연구과제 - 과제명 : 철도 운행 데이터 기반 저소음 선로 운영에 관한 국제공동연구 (연구기간: 2023. 01. 01. ~ 2025. 12. 31.) - 연구책임자 :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 연구책임자인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한국의 첨단 계측기술과 독일의 현장 테스트 인프라를 결합해 세계를 선도하는 철도 소음저감 기술을 완성하겠다”며, “개발 기술이 조용하고 쾌적한 이동환경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철도 소음 저감 기술로, 글로벌 철도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며, “양 기관은 향후에도 철도 소음 저감과 디지털 유지관리 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고 전했다.※참고: 국제공동연구 및 공동 현장시험 모습※ 사진설명: KRRI와 DZSF 국제공동연구(과제책임자: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 참여 연구진 및 독일의 ODT 시험차량 모습※ 사진설명: KRRI 개발기술을 탑재한 독일 DZSF의 시험차량(Messwagen) 모습 

    2025-11-05

    2030 철도혁신 R&D 비전 및 로드맵 수립

    – AI․디지털, 초고속 모빌리티 등 미래기술 제시, 로드맵 수립 워크숍 개최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 이하 철도연)은 11월 3일 10시 의왕 본원 오명홀에서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을 개최하고, 철도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 방향과 주요 기술혁신 비전을 전직원이 함께 공유했다.□ 이 워크숍은 “2030 KRRI R&D 로드맵: 미래 철도혁신, 함께 여는 2030”을 주제로, 2030년까지의 철도연 중장기 R&D 전략을 제시하고, 분야별 연구성과 및 계획을 한눈에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ㅇ 전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하며, 기관의 비전과 연구목표를 공유하고 부서 간 협업·연계과제를 발굴하는 소통형 전략 워크숍으로 개최되었다.□ 철도연은 이 로드맵에서 AI·디지털 기반의 철도운영 혁신과 실용화 중심의 R&D 전환에 중점을 두고, 국민의 이동편의와 철도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기 위한 3대 핵심목표를 제시하였다.※ 2030 KRRI R&D 3대 목표 구분주요 내용목표 1. 철도 AI 전환AI 철도운영 혁신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목표 2. 철도 혁신기술 실용화 확대현장에서 바로 쓰는 철도기술 개발 목표 3. 포용적 철도 모빌리티 구축소외 없는 국민 이동권 확보□ 철도연은 2030년까지의 R&D 비전으로 “세계를 이끄는 철도·교통·물류 혁신기술 선도”를 설정하였다. 4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미래 철도혁신을 본격화할 계획으로 분야별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ㅇ 박준혁 연구전략본부장이 ‘KRRI 2030 R&D 로드맵 및 사업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전략연구사업’ 중심의 임무 중심형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하고 철도산업 전 주기에 걸친 AI·디지털·실용화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획을 밝혔다. ㅇ 철도연 7개 연구본부에서 2030 비전 및 추진전략과 연계하여 분야별 중점기술 로드맵 및 주요성과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특히 금년 신설된 철도교통AX본부는 피지컬 AI를 통해 드론, 로봇 등이 자동으로 철도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여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정비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철도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기상상태와 철도역사 및 열차 내 혼잡도 등을 AI로 예측하여 이용객들에게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철도교통 안내 AI 기술’ 개발계획 등을 밝혔다. ㅇ 철도연은 금년부터 본격 착수한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의 핵심기술로 자기부상․추진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술 타당성 검증을 통해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ㅇ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분야별 세부 로드맵은 워크숍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기반으로 추가 보완을 거쳐, 2026년 3월 창립 제30주년 기념세미나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철도연은 워크숍과 함께 자체 개발한 교통분석시스템으로, ‘대중교통분석시스템(TRIPS 3.0)’, ‘광역콜버스 정책지원 의사결정 시스템(M-DRT 인증플랫폼)’, ‘활동기반 통행분석시스템(ABATA)’ 등의 소프트웨어 기반 연구성과도 시연하며 성과를 공유하였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국가정책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R&D방향을 정립하고, 부서 간 협업 및 개방형 협력을 통해 융합형 R&D 생태계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며,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K-철도를 위한 철도연의 기술혁신 도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참고: 철도연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 사진      ※ 사진설명: 11월 3일 철도연 의왕 본원 오명홀에서, 사공명 철도연 원장이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을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설명: 박준혁 연구전략본부장이 ‘KRRI 2030 R&D 로드맵 및 사업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설명: 김현기 철도교통AX본부장이 ‘디지털 트윈 기반 철도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등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설명: 철도연이 자체 개발한 교통분석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 기반 연구성과를 시연하며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2025-11-04

    철도전력 급전‧단전 작업과정 스마트 운영시스템 개발

    - 철도교통관제센터 등 시험설치, 유지보수 효율화 및 안전 제고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철도전력의 급전, 단전을 위한 작업과정을 표준화하여 효율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인적오류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을 제고하는 ‘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을 개발했다. 철도연은 이 기술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철도공사 철도교통관제센터에 시험 설치했다. ㅇ 그동안은 전국 약 5,000km에 육박하는 전철화 구간의 유지보수를 위한 철도 전기의 급전과 단전을 위한 급단전 계획, 취합, 승인, 지시 등 일련의 작업이 인력과 유선 통화에 의존하고 있어 자동화가 시급했다. ㅇ 이 시스템은 급전, 단전의 지시․조작 작업과정을 표준화하여 재설계하였다. 작업 단계별 상세한 절차와 확인 사항을 명확히 하고, 작업현장의 안전 조치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각 작업 담당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장치들은 작업자를 식별하는 기능과 함께 인증서를 통해 데이터 보안도 확보하였다.□ ‘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은 철도연이 한국철도공사 및 구스텍㈜과 함께 개발하였으며, 철도 급전, 단전 작업과정을 담당하는 철도교통관제센터의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 유지보수 작업 현장의 전기안전관리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도 포함하고 있다. ㅇ 이 시스템은 철도 전력관제 업무의 절차 및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였으며, 모의시험을 통한 성능 확인과 보완 과정을 거쳐 철도교통관제센터와 경인선 유지보수 작업구간에 시험 설치하여 운영하고있다.□ 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 김영식) 산하 철도연의 중소기업지원 기본사업으로 수행되었다.    ※ 관련 연구과제      - 과제명 : 스마트 급‧단전 운영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기간: 2024. 1. ~ 2025. 12.)      - 연구책임자 : 김주락 철도연 책임연구원□ 김주락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설치한 시스템의 현장 시험을 통하여 급단전 작업 업무의 실질적 개선효과를 검증하여 우수성을 확인할 계획이며, 향후 성능 향상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철도전력 작업 업무의 디지털화를 통하여 운영효율성과 안전성을 함께 제고하며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였다”며, “철도 운영기관과 협력을 통한 연구성과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참고: 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참고 자료<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관련 업무 프로세스><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구성><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중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중 전기안전관리자용 스마트폰 앱> 

    2025-11-03

    K-철도기술 동아시아 협력 강화,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 개최!

    -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 동아시아 철도기술 교류의 장 열어!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중국철도과학연구원(CARS, China Academy of Railway Sciences Corporation Limited), 일본철도종합기술연구소(RTRI,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와 공동으로 10월 28일부터 10월 30일까지 도쿄 Hotel Emisia Tokyo Tachikawa에서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ㅇ ZHANG Zhifang CARS 이사장 등 중국 21명, WATANABE Ikuo RTRI 원장 등 일본 17명, 권용장 철도연 부원장 등 철도연 16명을 포함해 총 54여 명이 참석하여, 한국과 중국, 일본의 철도기술에 대해 논의했다. ㅇ 철도연은 기존 11개와 신규 4개 등 총 15개의 공동연구 과제에 대해 중국 CARS 및 일본 RTRI 연구진들과 연구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연구계획을 논의했다.□ 28일에는 3개 기관 대표단 수석 회의와 공동연구 주제별 토론 및 기술협력 방안 협의를 진행했고, 29일과 30일에는 기조 강연과 공동연구과제 내용 발표, 기술시찰 등을 진행했다. ㅇ 기조강연에서는 최성훈 철도연 철도차량본부장이 ‘한국 고속철도 개통 20년, 성과와 미래 철도차량 연구개발 전략’을, MA Weibin CARS 연구원이 ‘철도 터널에서의 재난 예방, 대피, 구조 기술체계’를, ARAI Hideki RTRI 연구원이 ‘자율 열차운영’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ㅇ 이어서 철도 분야의 탄소중립 전략 및 기술에 대한 우수사례 교류와 제안, 장대 철도 터널 화재 연구 및 대응 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철도 신호 시스템의 사이버보안 기술 및 사례 연구 등 철도연, CARS, RTRI 3개 연구기관이 공동 수행한 11개 연구결과와 내년에 진행할 4개 연구 과제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는 철도연의 제안으로 2001년부터 한국, 중국, 일본의 철도연구기관이 매년 공동 개최하는 국제 학술행사이다. 금년까지 21번째 3개국 철도 연구진이 철도기술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21회를 맞은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는 동아시아 철도기술의 중심국가의 철도 연구기관들이 현재와 미래 철도기술개발 방향을 공유하고 논의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철도연, 중국 CARS, 일본 RTRI 3개 연구기관은 동아시아 철도의 공동 발전을 위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붙임 :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 관련 사진※ 사진설명: 10월 28일 도쿄 Hotel Emisia Tokyo Tachikawa에서 열린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에서 공동연구 분야별 토의가 진행됐다. ※ 사진설명: 10월 28일 도쿄 Hotel Emisia Tokyo Tachikawa에서 열린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에서 철도연, 중국철도과학연구원(CARS), 일본철도종합연구소(RTRI)의 대표단 수석회의가 진행됐다. (우측부터 권용장 철도연 부원장, WATANABE Ikuo RTRI 원장, ZHANG Zhifang CARS 이사장)※ 사진설명: 10월 29일 도쿄 Hotel Emisia Tokyo Tachikawa에서 열린 제21회 한중일 철도기술교류회에서 최성훈 철도연 철도차량본부장이 ‘한국 고속철도 개통 20년, 성과와 미래 철도차량 연구개발 전략’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2025-10-30

KRRI SNS

알기 쉬운 철도과학 이야기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