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 세상을 바꾸는
    미래교통기술 연구의 중심

    미래 철도 교통 과학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혁신성장에 기여

KRRI NEWS

  • 철도연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

    2026년도「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기술수요조사 안내

    2026년도「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기술수요조사 안내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철도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철도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도 유관기관(기술수요기관) 및 중소·중견기업과의 공동 협업을 통한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동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철도 유관기관(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 등)과 중소·중견기업의 수요 기술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관심 있는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 11월 11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 1. 사업명: 2026년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사업2. 사업목적○ 철도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와 실용화 촉진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연구원, 기업, 수요기관 간 협력 기반의 R&D 생태계 구축 - (기술개발 및 실용화 촉진) 철도산업계의 현장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개발된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촉진 - (기술실시 및 사업화 연계 강화) 공동연구 성과의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직접 기술을 실시·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공동연구 기반 강화) 연구원, 기업, 수요기관 간 협력을 기반으로 수요발굴, 기술개발, 검증/실증단계 전주기 협력 체계 구축3. 지원대상 및 유형 구분주요내용[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철도 유관기관이 신규개발이 필요한 기술수요를 제안⦁연구원·유관기관·기업 공동협업 R&D 수행⦁연구성과의 현장 적용을 통한 유관기관 기술애로 해결 및 기업 성장 지원[유형 2] 기업 제안형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중소·중견기업이 현장 애로사항 또는 필요 기술 수요를 제안⦁연구원·기업 공동협업 R&D 수행⦁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를 통한 기업 성장 지원 [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 ① 지원대상 ○ 철도 유관기관(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 등) 및 연계 중소.중견기업② 추진방식 ○ 철도 유관기관이 신규개발이 필요한 기술수요를 발굴·제안하고, 연구원·유관기관·기업이 공동 협업 R&D 수행③ 지원내용 ○ 철도 시설·운영기관이 운영·유지관리를 위해 구매하는 독점 수입품 등의 국산화 개발 및 기타 수요 기술·제품 개발 ○ 완성차 제작사의 해외 수입품 국산화 개발 및 차량 제작·성능개선을 위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④ 권고(의무)사항 ○ 과제 수행 과정에서 유관기관의 현장(차) 실증 지원 ○ 유관기관은 개발 요구사항 만족 시, 우선 구매 노력 권고 ○ 과제 종료 전, 연구성과 활용을 위한 참여기업의 기술실시 계약 의무화 (착수기술료: 직접경비의 20%(중소기업), 40%(중견기업) 이상, 경상기술료는 별도 협의) ※ 기술실시계약 미 이행시, 향후 기업 및 과제책임자에 대한 본 참여제한 등의 제한 조치 적용 예정 [유형 2] 기업 제안형 수요기반 실용화 R&D 지원 ① 지원대상 ○ 중소·중견기업 中 최근 연도 기준 매출 30억원 이상이면서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보유 기업 ※ 매출 30억원 미만 시, 기술수요조사서 상 ‘매출성장가능계획’ 작성 必, 평가위원회 심의 ※ 중소기업기본법 또는 중견기업 특별법에 따른 기업 ② 추진방식 ○ 중소·중견기업이 제안한 현장 애로사항 또는 필요기술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원·기업이 공동협업 R&D 수행③ 지원내용 ○ 기업이 제시한 현장 수요기술 또는 기술애로(원가 절감, 성능 개선, 안정성 확보 등)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기술개발 및 공동 R&D 수행 ○ 시장 진입 또는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 부품·장비 등의 국산화 및 실증 추진④ 의무사항 ○ 과제 종료 전, 참여기업은 연구성과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실시 계약 의무 체결 (착수기술료: 직접경비의 20%(중소기업), 40%(중견기업) 이상, 경상기술료는 별도 협의) ※ 기술실시계약 미 이행시, 향후 기업 및 과제책임자에 대한 본 참여제한 등의 제한 조치 적용 예정4. 사업규모 및 기간 ○ 과제 수: 0 건 내외○ 과제예산: 과제당 연 0.5~3억원 (직접경비 기준) ※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기업은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물)를 부담해야 하며, 과제 종료 후 기관부담연구개발비(현금)에 대한 정산을 실시해야 함○ 과제기간: 1~2년 이내※ 제안 내용에 적정한 예산 및 기간을 제시해야 하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 선정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제안된 예산 및 기간은 선정평가 결과 및 평가위원회 의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신규과제는 예산 범위 내에서 기업수요 및 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 예정5. 추진절차 및 일정 절 차 및 내 용 비 고 일 정       ① 【사업공고】 내·외부 공모 연구원 홈페이지 ‘25. 11월     ② 【기술수요 접수】 기술수요조사서 및 관련서류 제출 유관기관 및 기업 → 철도연 (산업지원실) ‘25.11.11~28     ③ 【기술수요조사서 평가】 기술수요에 대한 지원 타당성 평가(서면평가) 평가위원회 ‘25.12.10(예정)     ④ 【연구책임자 연구원 내부 공모】 기술수요조사서에 대한 연구원 내부 책임자 공모 철도연 (산업지원실) ‘25.12.15~19(예정)     ⑤ 【과제 신청】 과제계획서 작성 및 신청 연구책임자→철도연(산업지원실) ‘25.12.22~’26.1.9(예정)     ⑥ 【과제 선정평가】 과제계획서 평가 및 추진과제 선정 평가위원회 ‘26.1.15(예정)     ⑦ 【과제 수행】 과제수행 및 과제 종료 전 기술이전 연구책임자, 유관기관 및 기업 ‘26.1월 ~      ⑧ 【종료 평가 및 실용화 추진】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실용화 추진 연구책임자, 유관기관 및 기업 ‘26. 11월 (예정) 6.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기간: 2025년 11월 11일 ~ 28일○ 제출서류 제출 서류[유형 1] 철도 유관기관[유형 2] 중소·중견기업① 기술수요조사서✓ (붙임 1 양식)✓ (붙임 2 양식)② 협력·참여의향서 또는 참여확약서✓ (붙임 3 양식)✓ (붙임 4 양식)③ 청렴서약서 ✓ (붙임 5 양식)④ 신용상태 조회 동의서 ✓ (붙임 6 양식)⑤ 기술실시 확약서 1부 ✓ (붙임 7 양식)⑥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 ⑦ 기업부설연구소 인정서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서 ✓⑧ 최근 3년간 표준재무제표증명 각 1부 (국세청 홈택스) ✓⑨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 각 1부 ✓ ○ 신청방법: 제출서류를 압축하여 이메일로 제출 (제출처: krissme@krri.re.kr) 7. 평가 방법 및 항목 ○ 평가방법 - 기술수요조사서 평가는 서면평가를 원칙으로 하며, 평가 과정에서 필요 시 보완 또는 추가자료 제출을 요청할 수 있음 - 평가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현장방문 또는 개별 상담을 실시할 수 있음 ○ 평가항목 : [유형 1] 철도 유관기관 연계형 실용화 R&D 지원사업 평가항목평가지표평가 주안점배점1. 연구개발 필요성문제/이슈의 타당성∎과제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슈가 필수적이고 시급한지 여부와 제안된 기술개발이 해당 문제/이슈를 해결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인지 여부를 검토15시장성∎개발 기술이 목표하는 국내외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상황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시장성이 충분한지를 판단152. 요구사항 및 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수요처 요구사항의 적절성∎수요 주체(철도 시설운영기관, 완성차 제작사)가 제시한 수요가 구체적이고 실재하는지와, 제시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문제/이슈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지 여부를 검토20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수요처의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기술수요서의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에 정량적/정성적으로 적절하게 반영되었는지 검토103. 성과활용 계획의 구체성시장진입 계획의 적절성∎기술개발 완료 후 수요처의 구매 계획 등 구체적인 시장진입 전략과 수익 모델(BM)이 현실적인지 평가15인증계획의 적절성∎국내외 시험·인증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검토10수요기관 역할 및 협력계획∎실증 환경 제공, 데이터 제공 등 협력 의지, 연구원/기업과 협력 계획의 구체성, 기술개발 후 활용에 대한 의지의 명확성 등 검토15합 계100 ○ 평가항목 : [유형 2] 기업 제안형 실용화 R&D 지원사업평가항목평가지표평가 주안점배점1. 연구개발 필요성문제/이슈의 타당성∎과제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슈가 필수적이고 시급한지 여부와 제안된 기술개발이 해당 문제/이슈를 해결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인지 여부를 검토15시장성∎개발 기술이 목표하는 국내외 시장 규모, 성장 가능성, 경쟁상황, 예상 수요처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시장성이 충분한지 판단152. 요구사항 및 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기업 요구사항의 적절성∎기업에서 제시한 수요가 구체적이고 실재하는지와, 제시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문제/이슈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지 여부를 검토20연구개발 목표의 적절성∎기업에서 제시한 기술개발 요구사항이 기술수요서의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에 정량적/정성적으로 적절하게 반영되었는지 검토103. 성과활용 계획의 구체성시장진입 계획의 적절성∎기술개발 완료 후 제품 양산, 판로 확보, 마케팅 전략 등 구체적인 시장진입 전략과 수익 모델(BM)이 현실적인지, 예상수요처의 수요확인, 실증협조 및 구매 의향 등 협의 수준 평가15인증계획의 적절성∎국내외 시험·인증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검토10기업 역량 및 의지∎기업이 보유한 기술 전문성, 과거 실적, 연구개발 인프라(인력, 시설 등)가 과제 수행 및 기술실용화에 적합한지, 기술실시 의향과 조건이 명확히 제시되었는지 검토15합 계1008. 과제 수행 및 관리 ○ 과제 수행 및 관리는 철도연의 「기본사업관리규정」 에 따라 이루어짐○ 과제비는 철도연 연구책임자가 철도연 내부절차에 따라 집행하며, 참여기업으로의 현금 지원, 시험체, 시제품 제작, SW 제작 용역 등의 직접 지원(구매발주)은 불가함○ 지식재산권 등 연구개발성과의 소유에 관하여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16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32조에 따르며, 기술실시(이전·사용) 계약을 통해 참여기업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9. 기타사항 ○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과제수행 대상에서 제외하며, 과제수행 과정에서 제외사항이 확인된 경우 지원 제외 처리함   ① 기술수요조사서에 대해 적절한 철도연 연구책임자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② 신청과제가 동일기업의 기 지원된 과제내용과 유사한 경우  ③ 신청기업 또는 신청기업 대표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철도연에 기술료 납부 등의 의무사항을 불이행한 경우  ➃ 신청기업 또는 신청기업 대표자가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 또는 철도연구원과의 과제수행·구매(용역)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⑤ 신청자격 요건에 맞지 않는 경우 또는 기업의 부도  ⑥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10. 문의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산업지원실 . 박준성 실장 (T. 031-460-5960), 장동두 책임 (T. 031-460-5740) 

    2025-11-11

    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

    2026학년도 UST-KRRI 스쿨 전기1차 신입생 모집을 안내드리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원서접수: ~2025.10.16.(목) 17:00- 지원자 서류 보완: 2025.10.27.(월) ~ 29.(수)-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2025.11.12.(수) 17:00- 전공심층면접: 2025.11.17.(월) ~ 21.(금)- 최종 합격자 발표: 2025.12.08.(월) 17:00- 입학등록: 2025.12.09.(화) ~ 15.(월)※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 시 UST 입학 홈페이지(admission.ust.ac.kr)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

    2025-10-01

  • 입찰공고

    (재공고) 제2025-295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재공고) 제2025-295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1-07

    (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입찰공고) 제2025-294호 핵심 전장품 및 구동장치 신뢰성 특성□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9

    (재공고) 제2025-293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냉온수기 및 생수 공급업체 선정

    (재공고) 제2025-293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냉온수기 및 생수 공급업체 선정□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9

    (재공고) 제2025-292호 연구행정 DX 가속화를 위한 업무포털 고도화 사업

    (재공고) 제2025-292호 연구행정 DX 가속화를 위한 업무포털 고도화 사업□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 타: 첨부파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인터넷 옵션 → 고급 → 탐색-URL을 항상 UTF-8로 보냄의 Check를 풀어주세요

    2025-10-28

  • 채용공고
  • 보도자료

    철도종합시험선로, K-철도 실증 및 해외진출 촉진 강화

    - 국내 철도산업의 기술경쟁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역할 확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국내 최초로 철도 시험과 연구개발을 위해 건설된 전용 시험선로인 “철도종합시험선로(이하 시험선)”를 2019년 5월 개통 후 단 한 건의 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25년 10월까지 누적 시험 2만 시간을 넘어섰다. ㅇ 시험선은 개통 이후 연평균 가동률이 100%를 초과하여 매우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철도연은 개통 이후 꾸준히 사용료 인하, 수요 맞춤형 운영시간 확대, 대내외 홍보 강화 등의 시험선 활성화 노력을 해왔다. 그 결과 시험선은 철도기술의 실제 검증과 실험 인프라로 빠르게 자리매김하였다.□ 금년 11월 현재 시험선 사용일정은 2027년까지 70% 이상이 이미 확정될 정도로 활용도가 높다 ㅇ 시험선에서 진행된 첨단 철도기술 시험으로, 차세대 열차제어 기술인 ETCS L3(이동폐색)*급 시스템의 기술 및 성능 검증을 위한 KTCS-3** 열차시험과 자율주행 열차 제어시험이 수행되었다. 현재 수소연료전지 열차시험과 5G 기반 철도통신(이음5G-R) 시험 등이 진행 중이다.     * ETCS L3: 유럽형 열차제어시스템 LEVEL 3     ** KTCS-3: ETCS를 기반으로 개발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 ㅇ 국민이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울4호선, EMU-150, GTX-A 차량 형식시험 등이 수행되었고, 서울5호선 신조차량 형식시험, 특수차 시험 등이 진행되고 있다.□ 철도연은 시험선을 기반으로 해외 건설사업 수주와 수출차량 시험을 지원하며, 국내 철도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ㅇ 대표적으로 시험선 준공 실적을 바탕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약 5,500억 원 규모의 싱가포르 시험선 건설 사업을 2020년 4월에 우리 기업이 수주하도록 지원하여, 국제 철도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ㅇ 또한 호주로 수출하는 2층 전동차(현대로템, 8,894억 원 규모, 2019.6.~2020.3.) 시험을 지원하였으며, 싱가포르 경전철 수출 차량(현대로템, 3,586억 원 규모, 2023.6.~2026.2.) 시험도 진행 중이다. 이어 미국 LA METRO 수출 차량(현대로템 8,845억 원, 우진산전 2,870억 원 규모, 2026.4.예정) 시험이 예정되어 있다.□ 철도연은 국토교통부 및 국가철도공단과 협력하여 시험선이 국제경쟁력을 갖추도록 시설 개선과 시험 여건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ㅇ 2023년 6월 DC 750V 제3궤조(4.2km) 구간을 새로 설치해, 국내 전력 급전 방식인 AC 25kV, DC 1,500V에 더해 모든 열차 전력 방식의 시험이 가능해졌다. 또한 DC 1,500V 직류구간을 확장해, 2026년부터 시험선 전 구간에서 DC 차량시험이 가능해진다. ㅇ 시험 편의성 향상과 사용자 안전 확보를 위해 검수고와 유치선* 설치를 확정하였으며, 향후 제3궤조** 연장(4.2km → 9.2km), KTCS-2 및 KTCS-M시스템 구축, 순환선 및 부설선 건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유치선: 측선의 일종으로서 차량을 일시 유치하는 선로     ** 제3궤조: 주행 레일 옆에 평행 부설하여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레일□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 확보와 철도 디지털 전환(DX) 기술 선도를 목표로 인공지능과 디지털(AX-DX) 융합 시험선 운영 플랫폼 구축도 예정하고 있다. ㅇ BIM 기반의 정밀 인프라 모델링, 센서 네트워크 기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예지 정비 알고리즘, 데이터 융합 및 자동화 분석 체계 등을 통합 적용할 예정이다.□ 최용석 철도연 오송시험선운영실장은 “시험 현장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의견과 개선 요청을 적극 반영해 운영 효율성과 시험 편의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며, “시험선을 찾는 기업들이 기술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철도종합시험선로는 단순한 시험 시설이 아닌 철도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전략적 인프라”라며, “앞으로도 기업과 연구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실증 기반을 제공하고, 우리나라 철도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참고: 시험선 주요 시험 실적, 시험선 시설 고도화, 연도별 시험시간 추이참고 1 시험선 주요 시험 실적※사진설명: 서울4호선 신조 차량 시험이 시험선에서 시행되었다.※ 사진설명: 수소연료전지 차량이 시험선에서 시험을 진행 중이다.※ 사진설명: 열차자율주행 시험이 시험선에서 시행되었다. 참고 2 시험선 시설 고도화※ 사진설명: DC 750V 제3궤조 신설, DC 1,500V 전구간 구축 현황참고 3 연도별 시험 시간 추이* 참고 : 개별 프로젝트 시험 시간 합계 

    2025-11-10

    K-철도 저소음화 기술혁신, 독일 공동연구 성과도출

    - KRRI-DZSF, 차량기반 선로음향특성 검측 기술 개발·검증 본격화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독일연방철도연구원(DZSF)과 함께 철도 소음 저감과 디지털 기반 선로 유지관리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ㅇ 양 기관은 최근 독일 ‘오픈 디지털 테스트필드(Offenes Digitales Testfeld)’에서 차량에 탑재한 센서를 이용해 선로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의 시험주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번 공동연구는 철도운행에서 발생하는 구름소음(rolling noise)을 줄이기 위해 추진됐다. 열차는 차륜과 레일 사이 표면의 미세한 거칠기*(Acoustic Rail Roughness)로 인해 구름소음이 발생한다. 이 거칠기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시점에 유지관리하면 소음을 줄이는 것은 물론, 선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 거칠기 : 재료 표면의 불규칙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용어로, 주로 기계·재료공학에서 표면의 정밀도와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 ㅇ 기존에 사용 중인 ‘레일 표면의 거칠기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작업자가 선로에 직접 접근해야 하여 광범위한 노선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ㅇ 철도연과 DZSF는 일반 영업 열차에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온보드) 선로음향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운행 환경에서 장거리 구간의 선로 거칠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ㅇ 또한 주행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로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반을 마련하고, 거칠기 발생과 성장의 원리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정책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 중이다.□ 이 기술은 철도연이 개발한 성과로서, DZSF가 철도 관련 기술의 현장 평가를 위해 구축한 시험차량(Messwagen)에 탑재한 첫 번째 사례이다. 이 기술은 2025년 개통된 독일의 오픈 디지털 테스트필드에서 다양한 선로 조건을 대상으로 시험과 성능 검증을 거쳤다.□ 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 김영식) 산하 철도연의 기본사업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로 수행되었다. ※ 관련 연구과제 - 과제명 : 철도 운행 데이터 기반 저소음 선로 운영에 관한 국제공동연구 (연구기간: 2023. 01. 01. ~ 2025. 12. 31.) - 연구책임자 :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 연구책임자인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한국의 첨단 계측기술과 독일의 현장 테스트 인프라를 결합해 세계를 선도하는 철도 소음저감 기술을 완성하겠다”며, “개발 기술이 조용하고 쾌적한 이동환경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철도 소음 저감 기술로, 글로벌 철도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며, “양 기관은 향후에도 철도 소음 저감과 디지털 유지관리 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고 전했다.※참고: 국제공동연구 및 공동 현장시험 모습※ 사진설명: KRRI와 DZSF 국제공동연구(과제책임자: 고효인 철도연 책임연구원), 참여 연구진 및 독일의 ODT 시험차량 모습※ 사진설명: KRRI 개발기술을 탑재한 독일 DZSF의 시험차량(Messwagen) 모습 

    2025-11-05

    2030 철도혁신 R&D 비전 및 로드맵 수립

    – AI․디지털, 초고속 모빌리티 등 미래기술 제시, 로드맵 수립 워크숍 개최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 이하 철도연)은 11월 3일 10시 의왕 본원 오명홀에서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을 개최하고, 철도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 방향과 주요 기술혁신 비전을 전직원이 함께 공유했다.□ 이 워크숍은 “2030 KRRI R&D 로드맵: 미래 철도혁신, 함께 여는 2030”을 주제로, 2030년까지의 철도연 중장기 R&D 전략을 제시하고, 분야별 연구성과 및 계획을 한눈에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ㅇ 전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하며, 기관의 비전과 연구목표를 공유하고 부서 간 협업·연계과제를 발굴하는 소통형 전략 워크숍으로 개최되었다.□ 철도연은 이 로드맵에서 AI·디지털 기반의 철도운영 혁신과 실용화 중심의 R&D 전환에 중점을 두고, 국민의 이동편의와 철도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기 위한 3대 핵심목표를 제시하였다.※ 2030 KRRI R&D 3대 목표 구분주요 내용목표 1. 철도 AI 전환AI 철도운영 혁신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목표 2. 철도 혁신기술 실용화 확대현장에서 바로 쓰는 철도기술 개발 목표 3. 포용적 철도 모빌리티 구축소외 없는 국민 이동권 확보□ 철도연은 2030년까지의 R&D 비전으로 “세계를 이끄는 철도·교통·물류 혁신기술 선도”를 설정하였다. 4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미래 철도혁신을 본격화할 계획으로 분야별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ㅇ 박준혁 연구전략본부장이 ‘KRRI 2030 R&D 로드맵 및 사업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전략연구사업’ 중심의 임무 중심형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하고 철도산업 전 주기에 걸친 AI·디지털·실용화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획을 밝혔다. ㅇ 철도연 7개 연구본부에서 2030 비전 및 추진전략과 연계하여 분야별 중점기술 로드맵 및 주요성과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특히 금년 신설된 철도교통AX본부는 피지컬 AI를 통해 드론, 로봇 등이 자동으로 철도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여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정비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철도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기상상태와 철도역사 및 열차 내 혼잡도 등을 AI로 예측하여 이용객들에게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철도교통 안내 AI 기술’ 개발계획 등을 밝혔다. ㅇ 철도연은 금년부터 본격 착수한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의 핵심기술로 자기부상․추진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술 타당성 검증을 통해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ㅇ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분야별 세부 로드맵은 워크숍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기반으로 추가 보완을 거쳐, 2026년 3월 창립 제30주년 기념세미나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철도연은 워크숍과 함께 자체 개발한 교통분석시스템으로, ‘대중교통분석시스템(TRIPS 3.0)’, ‘광역콜버스 정책지원 의사결정 시스템(M-DRT 인증플랫폼)’, ‘활동기반 통행분석시스템(ABATA)’ 등의 소프트웨어 기반 연구성과도 시연하며 성과를 공유하였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국가정책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R&D방향을 정립하고, 부서 간 협업 및 개방형 협력을 통해 융합형 R&D 생태계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며,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K-철도를 위한 철도연의 기술혁신 도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참고: 철도연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 사진      ※ 사진설명: 11월 3일 철도연 의왕 본원 오명홀에서, 사공명 철도연 원장이       ‘2030 KRRI R&D 로드맵 워크숍’을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설명: 박준혁 연구전략본부장이 ‘KRRI 2030 R&D 로드맵 및 사업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설명: 김현기 철도교통AX본부장이 ‘디지털 트윈 기반 철도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등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설명: 철도연이 자체 개발한 교통분석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 기반 연구성과를 시연하며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2025-11-04

    철도전력 급전‧단전 작업과정 스마트 운영시스템 개발

    - 철도교통관제센터 등 시험설치, 유지보수 효율화 및 안전 제고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은 철도전력의 급전, 단전을 위한 작업과정을 표준화하여 효율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인적오류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을 제고하는 ‘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을 개발했다. 철도연은 이 기술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철도공사 철도교통관제센터에 시험 설치했다. ㅇ 그동안은 전국 약 5,000km에 육박하는 전철화 구간의 유지보수를 위한 철도 전기의 급전과 단전을 위한 급단전 계획, 취합, 승인, 지시 등 일련의 작업이 인력과 유선 통화에 의존하고 있어 자동화가 시급했다. ㅇ 이 시스템은 급전, 단전의 지시․조작 작업과정을 표준화하여 재설계하였다. 작업 단계별 상세한 절차와 확인 사항을 명확히 하고, 작업현장의 안전 조치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각 작업 담당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장치들은 작업자를 식별하는 기능과 함께 인증서를 통해 데이터 보안도 확보하였다.□ ‘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은 철도연이 한국철도공사 및 구스텍㈜과 함께 개발하였으며, 철도 급전, 단전 작업과정을 담당하는 철도교통관제센터의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 유지보수 작업 현장의 전기안전관리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도 포함하고 있다. ㅇ 이 시스템은 철도 전력관제 업무의 절차 및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였으며, 모의시험을 통한 성능 확인과 보완 과정을 거쳐 철도교통관제센터와 경인선 유지보수 작업구간에 시험 설치하여 운영하고있다.□ 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 김영식) 산하 철도연의 중소기업지원 기본사업으로 수행되었다.    ※ 관련 연구과제      - 과제명 : 스마트 급‧단전 운영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기간: 2024. 1. ~ 2025. 12.)      - 연구책임자 : 김주락 철도연 책임연구원□ 김주락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설치한 시스템의 현장 시험을 통하여 급단전 작업 업무의 실질적 개선효과를 검증하여 우수성을 확인할 계획이며, 향후 성능 향상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기존 인력에 의존하였던 철도전력 작업 업무의 디지털화를 통하여 운영효율성과 안전성을 함께 제고하며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였다”며, “철도 운영기관과 협력을 통한 연구성과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참고: 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참고 자료<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관련 업무 프로세스><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구성><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중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중 전기안전관리자용 스마트폰 앱> 

    2025-11-03

KRRI SNS

알기 쉬운 철도과학 이야기 & 영상